본문 바로가기

디스플레이 공학

(40)
디스플레이 공학- 재료공학 Nano Science & Technology 분야는 다양한 형태의 나노 물질, 나노 소자, 나노 광학을 연구하고 이에 대한 물리적인 현상을 탐구하여 새로운 기능성을 부과한 나노구조를 만들어 이를 완전히 새로운 응용분야에 적용하는 연구 과정을 거칩니다. NST 그룹의 연구자들은 새로운 물질 및 소자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를 전자기기, 광학, 광전자, 및 생물학에 적용하려는 노력을 경주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전자피부를 위한 유연 전자소자를 개발하고 있으며, 유기물을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반도체 소자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사실상 고체 재료의 모든 중요한 특성들은 6개의 범주로 분류할 수 있다. 기계적, 전기적, 열적, 자기적, 광학적, 화학적(또는 열화적, deteriorative) 특성이다. 각각에는 ..
고분자 OLED 구조 및 적층구조에 대해서 알아보자 고분자 OLED의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자. 고분자 OLED의 구조와 에너지대에 의한 발광과정을 보여준다. 초기의 고분자 OLED는 발광층이 단층 구조로 투명 전극으로 코팅된 기판 위에 spin coating 법으로 소자를 제조하였지만, 동작전압,, 발광 효율이나 휘도를 최적화하기 위해 3층 이상의 구조로 향상하였다. 완충층은 양극 전극과 발광층 사이의 접착력을 개선하고, 정공 주입층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는 고분자는 단분자가 공유결합하여 수백 개가 서로 연결된 구조를 하기 때문에 단분자에 비해 박막형성이 쉽고, 내충격성이 크다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초박막 형성을 이용하는 전자소자나 광학 소자로서 가장 적합한 소재이다. 그러나 완충층 위에 형성되는 발광층은 발광 고분자를 담은 용액으로 코팅하게..
ELD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자 박막형 IELD의 기본구조를 봉준다. 발광추의 상부오 ㅏ하부에 절연층을 형성하고 있으며, 하부는 투명전도막인 ITO박막형 IELD의 기본구조를 봉준다. 발광층의 상부와 하부에 절연층을 형성하고 있으며, 하부는 투명전도막인 ITO와 유리기판으로 구성되어 화면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부에는 알루미늄 전극이 연결되어 교류 전압이 인가된다. 이때, 화면 색은 발광층의 소재와 첨가되는 첨가물에 따라 결정된다. 동작 원리를 살펴보면 IELD의 상하 두 개의 전극에 외부에서 교류 전압을 인가하여 절연층 사이에 수 MV/cm 이상의 강한 전계가 걸리면 절연층과 발광층 사이의 계면 준위에 포획되어 있던 전자들이 방출되어 발광층의 전도대로 tunneling 현상이 일어난다. 이와 같이 방출된 전자들은 외부 전계에 의해 ..
ELD의 역사에 대해서 알아보자. 최근 정보통신 분야의 발전이 더욱 가속화되면서 시간과 장소를 불문하고 언제 어디서든 정보를 주고 받아야 하는 필요성 때문에 전자 디스플레이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CRT 디스플레이에서 평판 디스플레이로 급속히 옮겨가고 있는 가운데 현재는 LCD가 가장 각광을 받고 있으며, 향후 지속적인 수요를 예측하고 있다. 그러나 LCD는 자체 발광소자가 아니고, 시야각등과 같은 근본적인 몇가지 단점으로 인하여 새로운 평판 디스플레이에 대한 개발이 전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새로운 평판 디스플레이 중에 하나가 바로 전게발광 디스플레이이다. ELD는 크게 무기 ELD와 유기 ELD로 나눌 수 있는데 무기 ELD는 비교적 높은 전압을 인가하여야 구동하고,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기 어렵다는 등의 결함으로..
PDP의 응용과 전망과 VFD의 개발사에 대해서 알아보자. PDP의 응용과 전망 아날로그 TV 방식에서 디지털 TV 시대로 접어들면서 고화질, 대화면, 다양한 정보 서비스 등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는 가운데 평판 디스플레이가 급속히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평판 디스플레이를 대표하는 PDP는 경량,박형화를 통하여 40인치 이상의 대형화가 가능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가장 주목을 받고 있으며, 성장 잠재력도 가장 높은 편이다. 이미 PDP에 대한 기술 개발로 인하여 고화질, 응답 속도 및 광시야각 등에서 다른 평판 디스플레이보다 앞서있는 상황이며, 향후 발전의 여지도 가장 높다. 사실 PDP의 단점이라고 알려진 소비전력은 그동안 이루어진 연구개발을 토대로 현재 200W 이하의 수준으로 낮아졌으며, 제조가격 절감과 구동 회로 부품의 원가 절감에 따라 수요 확대가..
Seal, 봉입가스 소재 및 PDP 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자. 8. Seal 소재 전면 및 배면 기판을 각각 조립하고 두 기판을 정렬하여 합착하게 되는데, PDP 패널 기판의 봉착에는 저융점 유리 분말이 사용되며, 8. Seal 소재 전면 및 배면 기판을 각각 조립하고 두 기판을 정렬하여 합착하게 되는데, PDP 패널 기판의 봉착에는 저융점 유리 분말이 사용되며, seal 소재에 대한 특성은 제조에 함께 사용하는 다른 재료와 선팽창계수가 동일하고 유전 및 절연 특성이 우수하여야 하며, 또한 강도, 기밀성 및 화학 특성이 좋아야 한다. 저융점 유리 분말을 이용하여 seal line 하기 위해서는 screen printing 법으로 형성하며, 봉착 온도가 높을 경우에는 기밀성 측면에서 우수하지만, 청색 형광체의 공정 열화로 인하여 휘도 감소를 비롯하여 보호막의 미세 균..
PDP의 소재에 대해서 알아보자.(보호막, 격벽재, 형광체) 5. 보호막 AC PDP의 투명 유전층 위에는 보호막이 형성된다. 유전층의 주성분은 PbO, B2O3, SiO2인 paste를 프린팅한 뒤에 소성하여 제조하는데 유전층의 주성분인 PbO가 플라즈마에 직접 노출되면 이온의 충격에 의해 반응이 일어나 표면에 이질층을 형성하여 방전 전압을 높이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보호막을 유전층 위에 증착하여 패널을 장시간 구동할 수 있다. 보호막의 특성으로는 표면 절연성,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높은 광투과율, 낮은 방전 전압, 이온에 대한 내 sputter성, 높은 이차전자 방출계수 및 우수한 메모리 마진 등이 요구된다. 산화물의 재료에 이온이 충돌하게 되면 표면에서 플라즈마 내부로 새로운 전자가 방출하며 이를 이차전자라고 한다. 이러한 이차전자의 방출이 많을수록 플라..
PDP의 소재에 대해서 알아보자.(유리기판, 투명전극, 금속전극, 투명유전체) PDP의 소재에 대해서 알아보자. 일반적으로 PDP 패널을 구성하는 소재로는 유기물과 무기물이 있으며, 공정온도를 통과한 후에 대부분의 유기물은 제거되어 무기물만 남게 되고, 결국 PDP의 성능에 영향을 주는 것은 무기물 성분이다. 이제, PDP의 제조 공정에서 성능 및 수율 개선을 위해 사용하는 각종 재료에 대해서 알아보자. 1. 유리기판 PDP 기판으로 요구되는 특성으로는 각 제조 과정을 거치면서 500~600도의 열처리 온도에서 내열성, 표면 균일도, 알칼리 금속에 대한 화학적 안정성 및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높은 광 투과도 등을 가져야 한다. soda lime 유리 기판의 경우, 고온으로 용융한 기판 소재를 용융 상태의 액체 주석 위에 밀도차에 의하여 부유시켜 floating 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