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스플레이 공학

디스플레이 공학- 재료공학

Nano Science & Technology 분야는 다양한 형태의 나노 물질, 나노 소자, 나노 광학을 연구하고 이에 대한 물리적인 현상을 탐구하여 새로운 기능성을 부과한 나노구조를 만들어 이를 완전히 새로운 응용분야에 적용하는 연구 과정을 거칩니다. NST 그룹의 연구자들은 새로운 물질 및 소자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를 전자기기, 광학, 광전자, 및 생물학에 적용하려는 노력을 경주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전자피부를 위한 유연 전자소자를 개발하고 있으며, 유기물을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반도체 소자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사실상 고체 재료의 모든 중요한 특성들은 6개의 범주로 분류할 수 있다. 기계적, 전기적, 열적, 자기적, 광학적, 화학적(또는 열화적, deteriorative) 특성이다. 각각에는 서로 다른 반응을 유발시킬 수 있는 특징적인 유형의 자극이 있다. 기계적 특성은 가해진 하중이나 힘에 의한 변형과 관계 되고, 이에 대한 예시로는 탄성 계수(elastic modulus), 강성(stiffness), 강도(strength), 인성(toughness)이 있다. 전기적 특성의 경우 전기장이 외부 자극이 되며 전기 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나 유전율(dielectric constant)이 그 특성이 된다. 열적 특성은 열 용량(heat capacity)이나 열 전도도(thermal conductivity)로 표현할 수 있다. 자기적 특성은 자기장이 작용했을 때의 재료의 반응으로 설명할 수 있다. 광학적 특성은 전자기파나 광 방사(light radiation)에 의한 굴절률과 반사율로 드러난다. 마지막으로 열화적(deteriorative) 특성은 재료의 화학 반응성과 관련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