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e panel CRT의 전면, 즉 화면에 해당되는 부분으로서 진공 용기의 일부를 구성함과 동시에 전기 신호로 전송, 수신된 영상 신호가 최종적이 시각정보로 변환되는 곳이다. 패널의 안쪽에 형성된 형광면은 빛의 3원색인 R,B,G의 각 색성분으로 구성된 3원색 형광체 화소가 영상면의 구성요소로서 패널 내면에 피착된다. Shadow mask 섀도우 마스크는 전자총에서 발사된 3색의 전자빔이 영상면, 즉 패널 내부에 형성된 형광면에 정확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금속판에 전자빔이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섀도우 마스는 지지 스프링과 패널핀이 결합되어 패널 내에 장착된다. funnel 패널과 함께 진공 용기의 일부를 구성한다. funnel은 깔때기 모양의 콘부분과 전자총이 삽입되는 목 부분으로 구성된다. 콘 부분에는 양극 전압 공급 단자가 부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내부 도전막이 도포된다. 내부 도전막은 섀도우 마스크와 전자총의 최종 전극에 양극 전압을 공급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electron gun 전자총은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전기 신호에 따라 전자빔을 발사하는 장치로서 funnel의 목 부분에 삽입하여 장착된다. 섀도우 마스크형 컬러 수상관은 3원색 형광체 화소를 독립적으로 자극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전자총은 3개의 소자로 구성된다. deflection yoke 편향 요크는 CRT의 자기 장치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시간 계열로 전송된 전기신호가 CRT에서 영상으로서 재생되기 위해서는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빔을 영상면상에 2차원적으로 편향시켜 재생한다. 이러한 전자빔을 편향하는 장치가 편향 요크이다. 보정 마그네트 섀도우 마스크를 통과한 전자빔이 해당하는 형광체와 정확하게 부딪히도록 집중도를 높이고 색의 순도를 고르게 유지하는 것으로 2극, 4극 및 6극 마그네트가 각각 쌍으로 구성된다. 섀도우 마스크 현재까지 가장 많이 보급되어온 CPT는 섀도우 마스크를 이용하여 3원색을 분리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RGB의 3개 전자총과 전자총에서 방출한 전자가 RGB의 형광체를 선택적으로 밝게 하기 위한 색선별 전극으로서의 섀도우 마스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섀도우 마스크는 하나의 RGB의 형광체를 선택적으로 밝게 하기 위한 색선별 전극으로서의 섀도우 마스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섀도우 마스크는 하나의 RGB 형광체에 대하여 한 개의 구멍에 대응하기 때문에 전자빔의 이용률이 이상적으로 30% 정도가 되지만, 실제로는 20% 정도가 최고 한도의 빔 이용률이고, 나머지 80%의 전자빔은 섀도우 마스크에 의해 흡수되어 열에너지로 소모되어 버린다. 또한, 섀도우 마스크는 전면 패널 안쪽으로 약 10mm 정도에 부착되어 있다. 섀도우 마스크를 처음으로 실용화한 것은 1954년 RCA사가 얇은 금속판에 규칙적으로 다수의 구멍을 뚫어 만든 구조이다. aperture grill은 Trinitron이라고 불리는데 이는 Sony 사의 대표적인 TV 제품에서 사용한 Trinitron 기술을 응용하기 때문이다. 즉, 이러한 방식은 Sony사가 특허를 받아 생산하였던 것으로 화면에 동그란 구멍이 아닌 길쭉한 선 모양으로 구성된다. 반면에 섀도우 마스크형은 각 RGB를 담당하는 전자빔이 모여서 하나의 점을 만들고, 다시 이러한 점들의 집합으로 색상을 만들어 내는 것으로 aperture grill 방식보다는 화질이나 선명도가 떨어진다. NEC 사에서는 섀도우 마스크와 트리니트론의 혼합형으로 크로마 클리어 방식을 개발하였고, 또한 MITSUBISHI 사는 트리니트론 방식에 전자빔 부위를 개조하여 다이아몬트론 튜브 방식을 만들기도 하였다. 그리고 LG사에서도 섀도우 마스크에 곡률을 주지 않은 것으로 플랫트론 방식의 제품을 만들었으며, 이는 휘도의 경우에 기존의 방식에 비해 80%, 콘트래스트는 70%를 향상시켰고, 정교한 피치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해상도를 높일 수 있다고 한다. In line gun 방식을 잘 살펴보면 특이한 것이 형광체의 3원색 배열순서로서 RGB 중에서 주로 녹색을 중앙에 배열한다는 것으로, 이는 인간의 시감도가 가장 높은 녹색을 중앙에 배치하게 되면 화질의 선명도를 유리하게 이용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배치 방식으로 적색을 가운데 놓기도 하는데 적색을 중앙에 배치하면 컨버전스의 벗어남이 비교적 눈에 띄기 어려운 경향을 갖는다. 칼라 수상기의 화면을 밝게 하려면 전자빔의 전류를 크게 하고, 양극 전압을 증가시키면 되지만, 전자빔을 크게 증폭하는 데도 한계가 있으며, 만일 과도하게 증가시키면 백색 부분에 손상이 발생되는 블루밍 현상이 일어난다. 또한, 양극 전압을 높이게 되면 수상기의 패널면에서 X선의 방출이 많아져서 인체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국제적인 안전규격에서는 X선 방사가 TV 수상기에서 5m 떨어진 이치에서 0.5mR 이하이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수상기의 회로 TV 수상기의 회로는 확실한 기능적 요소로 블록화하여 조작할 수 있다. 회로도의 첫번째 단계는 RF 신호를 받아 검파하는 부분으로 소위 Front-end이라 부르고, 흔히 이를 튜너라고 부른다. 지역에 따라 수신 채널이 다를 수는 있지만, VHF와 UHF 채널 모두를 수신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것이 바로 튜너이다. 오디오 부분은 음성 신호를 검파하고 증폭하여 재현한다. 비디오 부분은 영상 신호를 증폭하고, 칼라 TV 수신기에서는 색을 분리하는 과정도 포함한다. 그리고 편향 부분은 화면에 수직 및 수평 편향을 할 수 있도록 신호를 만들게 된다. 여기서 튜너, 오디오 및 편향 회로부는 흑백 TV나 칼라 수신기 모두 거의 동일하다. 송신 안테나에서는 서비스 지역 내의 전기장 강도가 0.5mV/m 이상이 되도록 전력을 방사하게되는데, 수신기의 인력 전압은 지역과 상황에 따라 상당히 차이가 있다.
'디스플레이 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TV 시스템의 방식 (0) | 2019.10.02 |
---|---|
수상기의 회로 (0) | 2019.10.02 |
CRT 동작 (0) | 2019.10.02 |
CRT의 개요 (0) | 2019.10.01 |
LCD와 PDP 역사 (0) | 2019.09.30 |